2. 등속상승비행에 대한 상승률을 나타내는 식이 아닌 것은? (단, V: 비행속도, γ: 상승각, W: 항공기 무게, T: 추력, D:항력, Pa: 이용동력, Pr\: 필요동력이다.)
[2020.08.22] 기출문제 |
|
3. 날개하중이 30kgf/m2이고, 무게가 1000kgf인 비행기가 7000m 상공에서 급강하 하고 있을 때 항력계수가 0.1이라면 급강하 속도는 몇 m/s인가? (단, 공기의 밀도는 0.06kgf·s2/m4이다.)
[2018.03.04] 기출문제 |
|
4. 비행기가 고속으로 비행할 때 날개 위에서 충격실속이 발생하는 시기는?
[2020.08.22] 기출문제 |
|
5. 항공기의 이륙거리를 옳게 나타낸 것은? (단, SG 지상활주거리(ground run distance), SR 회전거리(rotation distance), ST 전이거리(transition distance), SC 상승거리(climb distance) 이다.)
[2019.04.27] 기출문제 |
|
6. 등속수평비행에서 경사각을 주어 선회하는 경우 동일 고도를 유지하기 위한 선회속도와 수평비행속도와의 관계로 옳은 것은? (단, VL : 수평비행속도, V : 선회속도, ø : 경사각이다.)
[2018.03.04] 기출문제 |
|
7. 수평꼬리날개에 의한 모멘트의 크기를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? (단, 양(+), 음(-)의 부호는 고려하지 않는다.)
[2018.09.15] 기출문제 |
|
8. 받음각이 클 때 기체 전체가 실속되고 그 결과 옆놀이와 빗놀이를 수반하여 나선을 그리면서 고도가 감소되는 비행 상태는?
[2018.04.28] 기출문제 |
|
9. 그림과 같은 프로펠러 항공기의 비행속도에 따른 필요마력과 이용마력의 분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[2020.08.22] 기출문제 |
![]() |
|
10. 다음 중 비행기의 안정성과 조종성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?
[2019.03.03] 기출문제 |
|
11. 수평스핀과 수직스핀의 낙하속도와 회전각속도 크기를 옳게 나타낸 것은?
[2019.03.03] 기출문제 |
|
12. 비행기의 세로안정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아닌 것은?
[2018.09.15] 기출문제 |
|
13. 프로펠러 비행기가 최대 항속거리를 비행하기 위한 조건으로 옳은 것은? (단, CL은 양력계수, CD는 항력계수이다.)
[2020.08.22] 기출문제 |
|
14. 다음과 같은 [조건]에서 헬리콥터의 원판하중은 약 몇 kgf/m2 인가?
[2019.03.03] 기출문제 |
![]() |
|
15. 비행기의 동적안정성이 (+)인 비행 상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[2018.04.28] 기출문제 |
|
16. 공기를 강체로 가정하여 프로펠러를 1회전시킬 때 전진하는 거리를 무엇이라 하는가?
[2018.04.28] 기출문제 |
|
17. 프로펠러의 역피치(reverse pitch)를 사용하는 주된 목적은?
[2018.03.04] 기출문제 |
|
18. 에어포일 코드 ‘NACA 0009'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?
[2019.03.03] 기출문제 |
|
19. 항공기 총 중량 24000 kgf 의 75%가 주(제동)바퀴에 작용한다면 마찰계수가 0.7일 때 주바퀴의 최소 제동력은 몇 kgf 이어야 하는가?
[2018.09.15] 기출문제 |
|
20. 비행기의 무게가 3000kg, 경사각이 60°, 150km/h의 속도로 정상선회하고 있을 때 선회반지름은 약 몇 m인가?
[2018.04.28] 기출문제 |
|
Design & Develop by keeman.kim
기출문제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, 그 외 문제 및 해설은 본 사이트 운영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.